개발/Infra, AWS3 NCP로 난생 처음 서버 배포하기-2 서론이 글은 Naver Cloud Platform(NCP)에서 웹 서비스 서버를 구성하는 과정과 경험을 정리한 글입니다. 첫번째 글 에서는 VPC 생성부터 방화벽 구성과 서버 인스턴스 생성까지의 과정을 다루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버 구성 과정 중, 도메인을 로드밸런서에 연결하고 SSL 인증서를 발급해 HTTPS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할 것이다. 사전 지식 HTTPS - 도메인과 SSL 인증서1편에서 서버 인스턴스를 퍼블릭 서브넷에 배치했기때문에 인스턴스의 퍼블릭 IP를 통해 직접 접근할 수도 있다. 퍼블릭 IP로 서버에 접속하면 되는데 도메인은 왜 필요할까? 퍼블릭 IP를 직접 노출하는 것은 보안상 위험하고 퍼블릭 IP만으로는 HTTPS(보안 접속) 설정이 불가능하다. 따.. 2025. 3. 30. NCP로 난생 처음 서버 배포하기-1 서론같이 일하는 동료분께서 너무 좋은 아이디어를 가져와주셔서, 비사이드에서 진행하는 온라인 해커톤 포텐데이에 참가하며 사이드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있다. 회사에서 근무하며 자동배포 시스템이 이미 잘 되어있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작업한 결과물을 배포한 적은 있지만, 부끄럽게도 직접 서버를 구성하고 서비스를 배포해본 경험이 아직 없었다.포텐데이에 참여하면 네이버 플라우드 플랫폼(Naver Cloud Platform, NCP)의 크레딧을 받을 수 있는데, 이 크레딧을 활용하여 NCP에서 서버를 구성하고 서비스를 배포하는 경험을 정리해보려고 한다.첫번째 글에서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보안 설정을 하고, 네트워크에 서버를 배치시키는 과정에 대해 정리할 것이다. 사전 지식1. VPC (Virtual Private C.. 2025. 3. 16. [AWS] CloudFormation Lamda UPDATE_FAILED 에러 회사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serverless 프레임워크로 운영하고있다.최근에 마지막 배포가 1년도 더 이전인 프로젝트를 수정할 일이 있었는데, 작업을 하고 배포를 하려고하니 CI에서 이런 에러가 나면서배포가 실패했다.Stack:arn:aws:cloudformation:--- is in UPDATE_ROLLBACK_FAILED state and can not be updated. CloudFormation 콘솔에서 확인해보니(Stacks > Stack details > Events) 배포에 실패한 람다 함수 이름이 CustomDashresourceDashexistingDashs3LambdaFunction 이고, 업데이트 실패 사유가 이렇게 나와있었다. The runtime parameter of nod.. 2024. 5. 13. 이전 1 다음